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육십갑자일주론60

계해일주 고요한 흑해, 癸亥일주육십갑자의 마지막, 60번째에 위치한 癸亥일주는 깊고 고요한 흑해와 같습니다. 천간(天干)의 癸水(계수)는 음(陰)의 수(水)로, 하늘에서 내리는 이슬비나 안개, 혹은 잔잔한 호수와 같습니다. 지지(地支)의 亥水(해수) 또한 음의 수로, 큰 바다, 멈추지 않는 강물, 깊이를 알 수 없는 심연을 의미합니다.  癸水와 亥水가 만나 이루어진 癸亥일주는 겉으로는 잔잔하고 부드러워 보이지만, 그 속에는 깊고 넓은 속내를 감추고 있는 형상입니다.  이러한 癸亥일주를 물상론, 조후론, 억부론을 융합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다른 천간 및 지지와의 관계, 그리고 월별 운세까지 포괄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물상론 – 흑해심연(黑海深淵)癸亥일주의 물상은 ‘흑해심연(黑海深淵)’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 2025. 2. 20.
신유일주 신유일주 백로추상(白露秋霜)의 기상, 육십갑자(六十甲子)의 순환 속에서 58번째에 자리하는 신유일주(辛酉日柱)는 차가운 금(金) 기운이 응축된 형상으로, 섬세함과 강직함, 날카로움과 고독함이 공존하는 독특한 기질을 지닙니다.  가을 서리(霜) 내린 드높은 하늘 아래 홀로 빛나는 백로(白露)의 이미지처럼, 신유일주는 맑고 깨끗한 기운을 발산하며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해 나가는 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신유일주의 다층적인 면모를 창의적으로 조명하고자 합니다. 1. 신유일주(辛酉日柱)의 종합적 특성 분석신유일주는 천간(天干)의 신금(辛金)과 지지(地支)의 유금(酉金)이 결합된 간여지동(干與支同)의 일주입니다.  신금은 결실을 맺는 가을의 기운을 상징하며, 날카롭고 섬세하며 예리한 칼날, 보석, .. 2025. 2. 18.
경신일주 굳건한 바위, 예리한 칼날  庚申일주는 천간에 굳센 庚金(경금)과 지지에 굳건한 申金(신금)이 결합된 간여지동(干與支同)의 기둥입니다.  이는 마치 거대한 바위산 위에 날카로운 칼날이 솟아 있는 형상과 같습니다. 庚金은 숙살지기(肅殺之氣)를 품은 강철, 申金은 가을의 결실을 의미하는 금속 덩어리로, 庚申일주는 그 자체로 강력한 금(金)의 기운을 발산합니다.   庚申일주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다른 천간 및 지지와의 관계를 탐구하여 庚申일주의 특징과 운명적 흐름을 심층적으로 조명해 보겠습니다. 굳건함과 예리함의 조화: 庚申일주 물상론 庚申일주는 굳세고 단단한 금(金)의 기운이 응축된 형상입니다.  물상적으로 庚金은 제련되지 않은 원철(原鐵), 바위, 칼, 도끼 등으로 비유되며, 申金은 바위, 광산, 혹은 .. 2025. 2. 16.
기미일주 드넓은 대지, 풍요로운 결실 – 己未 일주 심층 분석기미(己未)일주는 드넓은 대지 위에 풍요로운 결실을 맺는 밭과 같은 현상입니다. 이 글에서는 기미일주의창의적인 해석을 제시하고자 합니다.1. 己未 일주, 그 본질을 꿰뚫어보다己未 일주는 천간(天干)으로는 己土, 지지(地支)로는 未土 로 구성되어 흙 토(土)의 기운이 중첩된 간지(干支)입니다. 己土는 논밭과 같은 부드러운 흙을 의미하며, 未土 또한 메마른 밭, 정원, 혹은 여름의 뜨거운 열기를 머금은 땅을 상징합니다. 이러한 己未 일주는 넓고 기름진 옥토(沃 土)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며, 만물을 포용하고 길러내는 어머니와 같은 넉넉함과 포용력을 내포하고 있습니다.물상론: 己未 일주는 **전답옥토(田畓沃土)**의 물상으로 비옥한 논밭, 기름진 땅을 의미합.. 2025. 2. 16.
무오일주2 물상론: 戊土 는 봄의 흙, 寅木 은 갓 돋아나는 새싹을 상징합니다. 戊午일주와 寅木의 만남은 생명력이 넘치는 봄의 풍경을 연상시킵니다. 戊土 는 寅木 에게 따뜻한 보금자리를 제공하고, 寅木 은 戊土 를 더욱 생기 넘치고 활기찬 땅으로 만들어줍니다. 戊午일주는 寅木의 영향으로 긍정적이고 진취적인 성격을 가지며, 새로운 시작과 발전을 추구합니다.조후론: 寅木은 火를 생(生)하는 오행이지만, 봄의 木은 아직 그 기운이 강하지 않아 戊午일주의 燥熱한 기운을 심하게 만들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寅木 은 戊土 에게 필요한 생기를 불어넣고, 조후의 균형을 어느 정도 맞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戊午일주가 寅木을 만나면, 조후적으로 안정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억부론: 寅木 은 戊土 를 소토(疏土)하고 억제하는 편관(偏官).. 2025. 2. 16.
무오일주 戊午 日柱  戊午 일주 는 천간에 굳건하고 넓은 戊土, 지지에 뜨겁고 맹렬한 午火 를 둔 일부입니다. 戊土 는 만물을 포용하는 어머니의 흙토, 午火 는 한여름의 맹렬한 태양을 상징하며, 이 둘의 만남은 웅장하고 역동적인 기운을 발산합니다. 戊午 일주 는 마치 드넓은 대지 위에 활활 타오르는 불꽃과 같아, 겉으로는 묵직하고 신뢰감을 주지만, 내면에는 뜨거운 열정과 에너지를 품고 있습니다. 1. 戊午 日柱 의 물상론, 조후론, 억부론가. 물상론: 炎帝 의 기상, 乾 土의 웅혼戊午 일주 의 물상은 **‘炎帝 의 기상, 乾 土의 웅혼’**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戊土 는 넓고 비옥한 옥토, 만물을 길러내는 대지를 의미하며, 午火는 뜨겁게 타오르는 불, 세상을 밝히는 태양을 상징합니다. 戊午일주는 이러한 흙과 .. 2025. 2. 16.
정사일주2 (3) 寅木과의 관계: ‘봉화요원(烽火燎原)’ 물상론: 寅木은 봄의 나무, 새싹과 같은 이미지입니다. 巳火는 횃불과 같습니다. 寅木과 巳火의 조합은 들판에 번지는 횃불, 즉 **‘봉화요원’**의 물상을 연상시킵니다. 이는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는 에너지와 성장을 의미하며, 寅木(인성)의 도움으로 巳火(일간)의 에너지가 더욱 강렬하게 발휘되는 관계입니다. 寅木은 巳火에게 연료를 공급하고, 巳火는 寅木의 성장을 촉진합니다. 조후론: 寅木은 巳火를 생하는 인성이므로, 丁巳일주의 조열함을 가중시킬 수 있습니다. 조후적으로는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목화통명(木火通明)의 긍정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수(水)의 조절이 필요합니다. 억부론: 寅木은 巳火를 생하는 인성이므로, 일간이 약할 때는 긍정.. 2025. 2. 15.
정사일주1 丁巳일주:   丁巳일주는 천간에 丁火, 지지에 巳火를 둔 간여지동의 일주입니다.  이는 뜨거운 기운이 겹쳐진 형상으로, 마치 횃불이 활활 타오르는 듯한 강렬한 에너지를 발산합니다. 丁巳일주를 다각도로 분석하기 위해 물상론, 조후론, 억부론을 융합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더 나아가 丁巳일주와 다른 천간 및 지지와의 관계를 다각적인 이론을 통해 창의적으로 풀어보겠습니다. 1. 丁巳일주의 종합적 이해: 물상론, 조후론, 억부론의 융합 물상론: 丁火는 은은하게 타오르는 촛불, 등불, 혹은 모닥불과 같은 불의 이미지입니다. 반면 巳火는 태양에 비견될 만큼 강력하고 뜨거운 불입니다. 丁巳일주는 이러한 두 불의 조합으로, 겉으로는 부드럽고 차분해 보이지만 내면에는 강렬한 열정과 에너지를 품고 있는 형상입니다. 마치.. 2025. 2. 14.
병진일주2 억부론: 未土는 丙火의 기운을 설기(洩氣)하는 식상(食傷)입니다. 未土가 강해지면 丙辰일주의 에너지가 소모되고, 무기력해질 수 있습니다. 억부론적으로는 인성(印星)인 木(목) 기운으로 未土를 제어하거나, 비겁(比劫)인 火(화) 기운으로 일간을 돕는 것이 필요합니다.형충파해합: 辰未는 파(破) 관계입니다. 파(破)는 깨지고 흩어지는 작용을 하며, 辰未 파는 토(土) 기운을 더욱 혼탁하게 만들고 답답함을 가중시킬 수 있습니다.종합: 未土는 丙辰일주에게 답답함과 혼란을 가져오고, 조토생금의 불리함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억부와 조후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여름철에는 수(水) 기운과 목(木) 기운의 보충이 필요합니다.申金(신금)과의 관계: 금수쌍청(金水雙淸) - 맑은 쇠와 물, 깨끗하고 맑다 (辰.. 2025. 2. 14.
병진일주1 丙辰일주: 봄 햇살 아래 잠룡, 조화와 역동의 기운 육십갑자(六十甲子)의 53번째, 丙辰일주(병진일주)는 천간(天干)에 丙火(병화), 지지(地支)에 辰土(진토)를 둔 간지(干支)입니다. 丙火는 하늘의 태양과 같고, 辰土는 대지(大地)의 용(龍)을 상징합니다. 丙辰일주는 마치 봄 햇살 아래 꿈틀거리는 잠룡(潛龍)과 같은 형상으로, 겉으로는 밝고 따뜻하지만, 내면에는 역동적인 힘과 변화를 갈망하는 기운을 품고 있습니다. 丙辰일주를 물상론(物象論), 조후론(調候論), 억부론(抑扶論)을 융합하여 다각도로 분석하고, 다른 천간 및 지지와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탐구하여  창의적인 글을 써 내려가겠습니다. 1. 丙辰일주의 물상론 (物象論): 화룡점정(畫龍點睛) 丙辰일주의 물상(物象)은 **화룡점정(畫龍點睛)**으로 표.. 2025. 2. 14.
을묘일주,2 (8) 유금(酉金) - '가을 서리, 초원을 시들게 하다'물상론: 가을(秋) 서리(霜)가 내려 초원(草原)을 시들게 하고 생기(生氣)를 잃게 만드는 모습입니다. 을묘일주의 목(木) 기운을 강하게 극(克)하고 손상(損傷)시키며, 위기(危機)와 좌절(挫折)을 경험(經驗)하게 할 수 있습니다. 유금(酉金)은 도화살(桃花煞)에 해당하지만, 을묘일주에게는 차가운 기운(氣運)으로 작용(作用)합니다.조후론: 유금(酉金)은 가을(秋)의 차가운 금(金) 기운으로, 을묘일주의 따뜻한 조후를 매우 차가워지게 만듭니다. 조후 불균형(不均衡)이 심각(深刻)해질 수 있으므로 화(火) 기운을 통해 조후를 반드시 조절(調節)해야 합니다. '삭풍고목(朔風枯木)'은 겨울(冬天) 바람(風)에 고목(枯木)이 말라 죽어가는 모습을 나타내는 .. 2025. 2. 13.
을묘 일주,1 을묘 일주  1. 을묘일주, 육십갑자(六十甲子)의 52번째에 해당하는 을묘(乙卯) 일주는 천간(天干)의 을목(乙木)과 지지(地支)의 묘목(卯木)이 결합된 간여지동(干與支同)의 일주입니다. 같은 목(木)의 기운이 겹쳐, 그 특징이 더욱 강하게 드러나는 을묘일주는 마치 봄날의 푸른 초원과 같습니다. 십이운성(十二運星)으로는 건록(建祿)에 해당하며, 이는 자립심과 건전함을 의미합니다. 이제 을묘일주의 특징을 다각적으로 탐구해 보겠습니다.물상론: 화려한 초원의 섬세한 생명, '초원지화(草原之花)'을묘일주의 물상(物象)은 한 폭의 그림처럼 아름다운 초원과 만개한 꽃으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넓게 펼쳐진 푸른 초원(草原)은 묘목(卯木)의 특징을, 그 위에 피어난 섬세하고 아름다운 꽃(花)은 을목(乙木)의 특징을 나.. 2025. 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