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조통변해보기

병술년, 을미월, 갑신일, 신미시 극신약 사주 분석 및 해설 1

by 석헌선생 2024. 11. 30.

병술년, 을미월, 갑신일, 신미시 극신약 사주 분석 및 해설 

1. 기본 정보

생년월일시: 병술년, 을미월, 갑신일, 신미시
신강신약: 극신약
용신: 신중 임수, 편인
격국: 정재격
대운: 병신, 정유, 무술, 기해, 경자, 신축, 임인
2. 사주 분석

일간: 갑목은 양목으로, 큰 나무와 같이 강인하고 곧은 성품을 상징합니다. 
월지: 미월은 따뜻한 기운을 가진 토의 계절로, 갑목에게는 묘(墓)의 상태입니다. 즉, 성장을 멈추고 뿌리를 깊게 내리는 시기로 휴식과 내실을 다지는 때입니다. 
일지: 신금은 갑목에게 사(死)의 상태로, 어려움을 겪거나 실패를 경험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시지: 미토는 갑목에게 양(養)의 상태로, 성장이 더디고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만, 주변의 도움을 받아 극복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3. 극신약 사주 해설

이 사주는 갑목 일간이 지지에서 모두 금(신금)과 토(미토)의 기운을 받아 극심하게 신약한 상태입니다. 갑목은 큰 나무로 성장하고자 하나, 주변 환경이 이를 억누르고 있어 어려움을 겪는 모습입니다. 마치 메마른 땅에서 힘겹게 생명을 유지하는 나무와 같습니다. 

4. 용신과 격국

용신: 극신약 사주이므로, 일간을 생조하는 수 기운이 용신입니다. 특히 임수는 갑목을 도와 성장하게 하고, 편인은 학문과 지혜를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도록 돕습니다. 
격국: 월지가 미토이므로 정재격입니다. 정재격은 정직하고 성실한 성품을 의미하며, 근면 성실하게 노력하여 재물을 모으는 것을 중요시합니다. 

5,갑목과 천간, 12지지와의 관계 분석 

 갑목의 특징
갑목은 큰 나무, 즉 양목(陽木)을 의미하며, 생명력이 강하고 곧게 뻗어나가는 속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6. 갑목과 천간과의 관계

갑목과 갑목: 비견으로, 서로 경쟁하면서도 협력하는 관계입니다.
갑목과 을목: 겁재로, 경쟁 관계에 있지만,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도 있습니다.
갑목과 병화: 식신으로, 갑목의 기운을 설기하여 표현력과 창조력을 발휘하게 합니다.
갑목과 정화: 상관으로, 갑목의 기운을 과도하게 설기하여 통제력을 잃게 할 수도 있습니다.
갑목과 무토: 정재로, 갑목의 기운을 흡수하여 안정감을 주지만, 지나치면 성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갑목과 기토: 편재로, 갑목의 기운을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지만, 적절히 활용하면 재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갑목과 경금: 편관으로, 갑목을 억누르고 통제하려는 힘이 강하지만, 갑목을 단련시켜 더욱 강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갑목과 신금: 정관으로, 갑목을 적절히 통제하고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갑목과 임수: 편인으로, 갑목에게 지혜와 영감을 주지만, 지나치면 의존적이거나 소극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갑목과 계수: 정인으로, 갑목을 생조하고 성장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7. 갑목과 12지지와의 관계

갑목이 12지지 각각에 위치할 때의 상태와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수.

목욕

갓 싹을 틔운 어린 나무가 겨울의 차가운 물을 만난 형상, 아직 뿌리가 약하고 외부 환경에 민감

축토.



어린 나무가 촉촉한 땅에서 양분을 흡수하며 뿌리를 내리는 형상, 성장을 위한 준비 단계